본문 바로가기

▒▒▒▒▒ 인물 ▒▒▒▒▒/:: 연예인, 스타 ::

이쯤되면 다시한번 재평가되고도 남을 인물




뉴스제목.jpg






월트 교수는 이날 학술회의와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북한의 핵개발, 중국의 부상, 일본의 불황, 미국의 이라크전쟁과 아프가니스탄전쟁 부담 등을 꼽으며 동북아의 안보환경이 급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은 경제성장의 토대가 될 지역안정을 추구할 것이며, 이 지역에서 자국의 목소리를 키우기 위해서라도 북한과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미국은 중국이 동북아의 패권국으로 떠오르는 것을 막고 기존 동맹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아시아를 더 예의주시하게 될 것이라고 봤다. 그는 “앞으로 미중 관계는 악화될 가능성이 더 높다”며 “이 경우 한국은 결국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을 피할 수 없고 그 ‘선택의 순간’이 나라의 운명을 결정짓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중 간 패권 싸움 가능성에 대해서는 존 미어샤이머 시카고대 교수도 이날 학술회의에서 같은 의견을 내놨다. 미어샤이머 교수는 “중국은 평화적으로 부상할 수 없을 것”이라며 “중국이 급격한 경제성장을 계속한다면 경제력을 군사력으로 바꿀 것이고 결과적으로 미중 간 안보 경쟁이 심화되면서 냉전기와 비슷한 양상을 띠게 된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아시아를 장악하고 미국을 몰아내려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옌쉐퉁(閻學通) 중국 칭화대 교수는 “중국이 미래 다른 나라에 안보를 제공할 능력을 갖게 되면 이 지역의 안보관계가 바뀔 것”이라며 “중국이 미군을 아시아에서 몰아낼 것이라는 주장도 억지다. 우리를 무시하는 것 같아 실망했다”고 언성을 높였다.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미국은 (외교관계의) 리밸런싱(재균형) 작업을 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동아시아에 다시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역내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강조했다. 이어 “미국은 군사력 재배치를 희망한다. 아시아에 이런 조치가 이어지고 동남아와 호주에도 강한 군대를 배치하게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 “소프트파워는 없다”

월트 교수는 “북한은 체제 유지를 위해 핵무기를 최후 수단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은 이미 핵무기를 개발해 핵개발 자체로는 더 이상 국제사회의 관심을 받기 어려워진 만큼 때때로 도발적인 행동을 할 것이고 앞으로 심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태효 대통령대외전략비서관도 “북한이 남한과 미국에서 내년 대선 전까지 경제적 지원을 못 받는다고 판단하면 도발행동을 할 수 있다”고 거들었다.

이런 북한의 도발에 대해 월트 교수는 “대가를 치른다는 것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목에서 그는 조지프 나이 하버드대 교수의 ‘소프트파워’ 이론을 얘기하며 “나는 나이 교수와 동료이지만 소프트파워라는 개념을 한 번도 이해한 적이 없다. 하드파워가 결국 현실 정치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강한 대북 제재를 주장했다.

월트 교수는 미국 정부가 과거 대북 포용정책을 강조했던 웬디 셔먼 전 국무부 대북정책조정관을 최근 국무부의 3인자인 정무차관에 기용한 것과 관련해서도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 상태에서 한미 양국이 과거처럼 적극적인 관여 정책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남-북-러 가스관 연결 사업에 대해서는 “에너지 차원에서는 매력적이지만 북한이 가스관을 잠글 가능성만으로 모두의 관심을 끌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 사업을 진행하기 전에 정말 많이, 그리고 오래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 2.jpg


기사: http://news.donga.com/Politics/New/3/00/20111008/40932862/1


영상: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6398479&ctg=1004










역시 정확하십니다 ㅠㅠㅠ 캬아